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김동식 제천시의원 “공공기관 이전·축소 안 돼”

제천뉴스

by 정홍철 2015. 6. 24. 17:07

본문

김동식 제천시의원 “공공기관 이전·축소 안 돼”
한전 제천관리처·코레일 충북본부·국립종자원 충북지원 등 대책 촉구
기사입력: 2015년06월24일 11시18분
(아시아뉴스통신=정홍철 기자)

김동식 제천시의회의원

  김동식 충북 제천시의원 자료사진./아시아뉴스통신DB


 충북 제천시에 소재한 공공기관의 기구 축소나 이전을 둘러싼 움직임이 지역경제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김동식 의원은 24일 열린 제230회 제천시의회 제1차 정례회 제3차 본회의에서  ‘우리시를 떠나는 공공기관 존치 방안에 대하여’를 주제로 시정질문에 나섰다.

 김 의원은 ▶한전 제천전력관리처 축소 ▶코레일 충북본부 존치 ▶국립종자원 충북지원 유치에 대한 시의 방안을 질의했다.

 김 의원은 “제천소재 공공기관의 이전이나 기구축소는 시민의 생존권과 직결된다”며 시의 적절한 대책마련을 주문했다.

 이근규 시장은 한국전력관리처 충북지역본부 통합청사 준공에 따른 제천전력관리처 축소와 관련 “제천전력관리처는 1986년 9월 설립돼 200여명의 직원이 변전소시설과 철탑 시설 관리업무를 담당했다”며 “충북본부는 청주시 성화동 통합청사가 준공되는 2016년 3월에 맞춰 제천전력관리처와 대전충남 신옥천변전소가 충북본부로 통합하게 됐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이어 “제천전력관리처는 한국전력관리처 제천지사로 명칭이 변경되고, 근무인원도 현재 120명에서 70명 정도가 충북본부로 이동하고 50여명이 제천지사에 잔류, 기존 충북·강원건설지사 직원 50명은 존치돼 총 100여명이 근무할 계획”이라고 답변했다.

 이 시장은 “시는 제천전력관리처와 충북지역본부를 각각 방문해 조직과 기능축소에 따른 시에 미치는 경제적 영향 등을 고려해 잔류인력을 늘리거나, 다른 조직을 재배치하는 등 대안 마련을 촉구했다”고 답했다.

 코레일 충북본부 존치를 위한 제천시의 대책에도 관심이 모아졌다.

 이 시장은 “2009년 12개 지역본부로 직제가 개편돼 현재 경영인사처 등 6개처에 99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다”며 “한국철도공사 지역본부의 통폐합과 관련한 한국철도공사와 국토교통부의 공식 입장은 정식 논의나 구체화된 통폐합 계획이 없다는 답변”이라고 말했다.

 이어 “국토교통부와 한국철도공사의 현재까지의 공식입장은 논의된 구체화된 통폐합 계획이 없다고는 하나, 기획재정부의 ‘공공기관 기능 조정방안’과 국토교통부의 ‘철도물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운영구조개편·활성화 방안’ 등 일련의 과정을 볼 때 낙관하고 있을 수만은 없다는 판단으로 우려와 함께 향후 추진 동향에 대한 시의적절한 대책마련을 준비하고 있다”고 답했다.

 국립종자원 충북지원을 충주시가 유치하려는 움직임도 도마 위에 올랐다.

 이 시장은 “제천시 신월동에 위치한 국립종자원 충북지원이 인근 시로 이전 한다는 움직임이 있다는 제보를 접하고, 시는 업무 관련 부서인 농업정책과에서 충북지원을 방문해 존치 필요성에 대한 시의 입장을 강력히 전달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충북도 관련부서인 유기농산과를 방문해 제천 존치에 대한 충북도 차원에서의 협조를 건의 했다”며 “국립종자원 충북지원으로부터 현재 부지 외에 1만5000㎡의 추가 부지를 확보해 기존시설을 리모델링하고, 정선시설을 증축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 중이라는 답변이 있었다”고 말했다.

 최근 새누리당의 김무성 대표최고위원과 이종배 국회의원이 제천시의 송광호 국회의원 사무실에게 마련된 간담회에서 밝힌 ‘제천시의 부지제공’도 거론됐다.

 이 시장은 “시는 추가 편입 예상부지의 기초자료 제공과 모든 행정적 지원을 통해, 향후 국립종자원 충북지원 존치와 시설확장 등을 통한 확대 증축될 수 있도록 다각적으로 노력하겠다”며 “(이종배 의원이)제천시가 추가 부지를 제공키로 해 제천에 두는 것으로 했다고 하는데 그것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이어 “제천시가 땅을 주었기 때문이 아니라 제천이 의림지를 비롯한 농경문화의 중심지이고 제천에 위치한 것을 타 지역으로 옮기는 것은 안 된다는 것이 제천시의 논리다. 인접 지역과 심각한 갈등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