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사설] 대학 수도권 진출 지역 쇠퇴로 이어진다

위키소스

by 정홍철 2014. 8. 24. 14:58

본문

[사설] 대학 수도권 진출 지역 쇠퇴로 이어진다

 대구·경북권 일부 대학들의 수도권 제2캠퍼스 설립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다. 정부의 대학 정원 축소 요구와 입학자원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수도권에 캠퍼스를 세우려는 것은 지방대학이 안고 있는 만성적인 문제, 즉 낮은 신입생 충원율과 졸업생 취업률을 해결하겠다는 의도다. 신입생 충원율과 졸업생 취업률이 대학 평가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만큼, 대학이 살아남기 위한 고육지책(苦肉之策)이기도 하다.


경주대는 최근 인천 또는 경기도 평택에 관광대학 중심의 제2캠퍼스 설립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경산의 대경대는 경기도 남양주에 캠퍼스 부지를 확보, 문화·예체능 분야를 운영할 계획이라고 한다. 영주의 동양대도 경기도 동두천에 제2캠퍼스 입지를 마련하고, 4개 학과 정도를 옮겨간다는 장기비전을 발표했다. 해당 대학들은 수도권에서 운영할 경우 경쟁력이 상승하는 일부 과정을 우선 운영할 것이라 한다.


하지만 지역으로선 이들 대학의 수도권 캠퍼스 설립을 제한적 흐름으로 치부할 수 없다. 시간이 지나면 투자가 수도권 캠퍼스에 집중될 것이고, 본교에 대한 투자는 축소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는 결국 학생 감소와 지역사회 공동화로 이어질 우려를 낳는다. 지역대학의 수도권 이전이 먼저 시작된 충청권 일부 시·군의 경우 학생들의 급격한 감소로 지역경제 위축은 물론, 지자체 재정자립에도 비상이 걸린 상황이다.


지방에서 대학은 그 지역의 고용과 소비를 상당부분 담당하는 중요한 경제주체다. 따라서 지역대학의 쇠퇴는 지역의 쇠퇴와 직결된다. 그 직접적 원인은 주한 미군이 넘겨준 주변지역에 학교를 옮겨 지을 수 있도록 한 ‘주한미군 공여구역 주변지역 등 지원특별법’ 때문이다. 고양·의정부·평택 등 경기도내 20여개 시·군이 특별법의 혜택을 받고 있다. 특별법은 수도권 살리기로 지방의 고사를 부르는 사례다.


그런 점에서 수도권을 제외한 대학 최다집결지인 대구·경북권의 피해가 가장 클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지방대학의 수도권 캠퍼스 설립은 지방대학으로선 생존을 위한 절박한 몸부림이다. 대학 소재지가 대학의 경쟁력인 상황에서, 지방대학을 수도권과 같은 잣대로 평가해 퇴출을 유도하는 정부 정책은 재고돼야 마땅하다. 더불어 정부와 대학, 지자체 등이 지방대의 경쟁력을 살릴 대안을 모색하는 것이 순서다.<논설실> 영남일보 2014-04-04

관련글 더보기